<82년생 김지영>, 조남주, 민음사, 2016.


전성욱은 "정치적 긴급함이 전술의 안이함에 대한 변명의 이유가 될 수는 없다"고 했다지만, 중요한 것은 '안이함'에 있지 않을 것이다. 무엇이 정말 유용한 '전술'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작가도 아마 할 말이 있지 않을까 싶은 것이다.


사실 '전술'을 논하기에 앞서 중요한 것은 목적에 대해 말하는 것이다. 우리 사이에 이 '목적'에 대한 합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같은 게임이라고 할지라도 그 목적은 다양할 수 있으며, 우리가 사는 세계는 어떠한 게임도 따라오지 못할 거대한 오픈월드다. 누가 섣불리 '전술'을, '목적'을 말할 수 있겠는가. 


누군가는 안이함이 목적이었을 수도 있다. 그는 "여성의 삶을 그렇게 사회적인 통념으로 상투화하는 것"이 '반여성적'이라고 말하지만, 이 책은(작가는, 출판사는) <상투화>를 통해 매우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동시에 누군가는 충분한 싸움의 동력을 얻었을 터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이 소설의 통계(와 각주)에서 확인된다. 이 책의 상투성은 플롯이 아니라, 통계에서 나온다. 작가는 철저하게 '통계'에 의해 플롯을 구성해나간다. 


다시 말하자면 이 책은 미적으로 형상화하거나, 혹은 남들을(남자들을) 이해시키는 것이 아니라, 분란을 일으키는데 목적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 책은 '소설'을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이해'나 '타협'은 더군다나 아니다. 


이 소설에서 가장 어색한/불편한 것은 바로 그 통계(와 각주)였지만, 어차피 이 소설은 '소설'을 목표하지 않았으므로 아무런 상관도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여기서 소설이 아니라, 전략과 전술, 목적에 대해 이야기해야 한다. 하지만 그 전략과 전술에 대해서는 인터넷 공간에서 무수한 국지전이 벌어지고 있으므로, 생략해도 좋다. 


마지막으로 굳이 '소설'에 대해 한마디 하자면, 이 소설은 아마추어리즘을 보여주며, 동시에 아마추어리즘이야말로 소설이, 왜 소설인지 보여준다. 


다시, <82년생 김지영>이라는 '소설'에 대해 말할 수 있을 것이다. 

Posted by 문학콘서트
:

한여진 "이럴 거면 범인 잡아서 뭐해요?"

황시목 "범인은 잡는겁니다. 잡아서 뭘 어떻게 하는게 아니구요."


그러니까, 감정이라고는 없는 황시목(조승우)은, 법의 화신이 되는 것이다.

Posted by 문학콘서트
:

분명히 노동자에 대해 이야기하고, 복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영화인데, 어딘지 모르게 보수성이 느껴졌다. 감독 켄 로치에 대해 검색을 해 본 후, 영화의 많은 부분이 설명되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36년생, 꾸준히 노동계급을 대변하는 좌파영화, 다큐멘터리 기법 등등. 그러니까 영화에 다소 많이 꼰대 같은 면이 있다고 해도, 그렇다면야 그럴 수도 있지, 정도의 느낌.


영화에서 묘사된 지독한 관료주의가 너무나 비현실적으로 느껴졌는데, 이는 내가 지나치게 관료적이면서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지나치게 인간적인 한국 사회에 살고 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 영화에서 관료주의보다 훨씬 더 두렵게 느껴졌던 것은, 관료주의의 끝에 '경찰'의 이미지가 있다는 사실이다. 마치 코흘리개 아이들에게 경찰아저씨가 온다고 협박하듯, 공무원들은 해결할 수 없는 민원인들의 항의에 항상 '경찰'로 대응한다. 더 놀라운 것은 민원인들이 '경찰'이라는 언급에 실제로 무척 겁을 먹는다는 사실이다. "나, 다니엘 블레이크"라고 시위를 한 후, 경찰서에서 지나칠 정도로 쫄아 있는 다니엘 블레이크의 모습은, 정말로 공포스러웠다.


영국에서 (적어도 영화에 의하면) 법은 주먹보다 훨씬 가까이 있었으며, 먼 주먹보다 가까운 법이 훨씬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중을 지배했다.

Posted by 문학콘서트
: